환자를옮기는방법

일반적 원칙

먼저 구조자 자신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 환자 옆으로 접근해도 안전한지 확인한다.
    • 범죄 및 싸우는 현장: 가해자에 의해 공격당할 수 있다.
    • 자동차 충돌 현장: 자동차가 폭발하거나 불붙을 수 있다.
    • 건물 붕괴 현장: 추가 붕괴가 있거나 감전될 수 있다.
    • 폭발 현장: 추가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
    • 화학물질 오염 현장: 독극물에 오염될 수 있다.
    • 지하실 및 폐쇄 공간: 독성 기체와 저산소증의 위험성이 있다.
  • 조금이라도 위험성이 있으면, 안전요원(경찰, 119 구조대, 전기기술자 등)을 호출하여 그들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 고압선 감전 현장에서 일반적 절연 방식(집에서 신는 장화와 고무장갑을 끼고 나무 막대기를 이용)을 사용하여 고압선을 걷어내려고 시도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고압전기는 가정용 전기와 달라 나무를 통해서도 흐른다.
  • 꼭 자신이 옮길 필요가 없거든 119 구급대가 올 때까지 환자 옆을 지키는 것이 좋다.
    • 환자가 발견된 위치가 안전하며, 환자의 현재 자세에서 기도가 잘 유지되며, 자발 호흡을 잘 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 전문적인 술기와 경험, 그리고 필요한 장비도 없이 환자의 위치를 옮기는 것은 환자에게 해로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 다친 환자의 자세를 바꾸거나 위치를 옮길 때는 환자에게 추가적인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경추 보호: 경추 보호가 가장 중요하다. 손상 충격에 의해서 경추(목 부위 척추뼈)가 손상되었더라도, 그 속의 경수(목 부위 척수)는 온전하거나 일부만 손상되었을 수 있다. 만일 적절하게 경추 고정을 하지 않고 섣불리 환자를 옮기거나 움직이다가 경수를 손상시키거나 기존의 경수 손상을 악화시킨다면 돌이킬 수 없는 참혹한 결과(전신마비)를 환자에게 초래하는 것이다.
      • 환자의 자세를 바꾸거나 움직일 때, 목이 어느 쪽이든지 꺾이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통나무 굴리기 술식을 엄격하게 적용하면 좋다.
      • 경추고정목테가 없다면, 부드러운 베개나 담요 만 것으로 목을 감싸서 목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면 도움이 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이런 물건들이 목을 압박하여 기도를 저해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 척추 보호: 그 다음은 척추, 특히 요추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추 손상으로 척수가 절단되거나 손상되면 하반신 마비가 발생한다. 불필요하게 하반신마비를 유발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척추 고정이 필요하다.
      • 척추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는 앉히거나 걸려서 이동시키면 절대 안 된다. 전신을 반듯하게 눕힐 수 있는 널판 위에 뉘어서 옮겨야 한다.
      • 통나무굴리기 술식을 엄격하게 적용하면 좋다.
    • 골반 고정: 골반 골절이 있는 환자를 옮길 때는, 골절된 골반뼈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골반 골절은 다량의 출혈이 동반되는데, 골반뼈를 추가로 더 움직일수록 더 심한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
    • 팔다리 고정: 팔다리 골절도 ‘가능하면’ 부목 고정을 시행한 후에 환자를 옮기는 것이 좋다.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옮기다가 골절면을 자주 움직이게 되면, 출혈도 더 유발하겠지만 날카로운 골절면에 의해 주변 신경, 혈관, 및 근육 손상이 추가로 유발되기 때문이다.
    • 체온 유지: 환자를 옮길 때 환자에게 저체온증이 유발되지 않도록 보온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상 환자에게 저체온증까지 동반되면 사망률이 높아진다.
  • 응급구출이 필요할 경우(예, 폭발이 임박한 현장, 화재가 난 차 속, 또는 붕괴할 것 같은 건물 내에서 발견된 환자에는 모든 것에 우선하여 신속히 현장으로부터 환자를 제거해야 한다. 기도 확보와 경추 보호 및 척추 보호에 가능한 최대의 관심을 기울여야 하겠지만, 이때 가장 우선시되어야 하는 것은 신속한 구출이다.

상황별 이송법

척추 손상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옮기는 법
  1. 환자의 전신을 눕힐 수 있는 견고한 널빤지(예, 문짝)위에 환자를 눕힌 다음 여러 명이 들고 옮기는 것이 가장 좋다. 이불이나 침대보와 같은 것 위에 눕혀서 옮기면 척추 고정이 안 된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2. 보행이 가능한 환자라도, 절대로 걸려서는 안 된다.
  3. 응급구출이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119 구급대가 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척추 손상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옮기는 법
들것으로 환자를 이송하는 장면
  1. 들것이나 널빤지를 이용하여 반듯이 누운 자세로 옮기는 것이 가장 좋다.
  2. 머리를 몸통보다 더 낮추는 소위 “쇼크 자세”는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복강내 장기들이 위로 쏠리면서 횡격막을 압박하여 호흡을 방해하며, 혹시 환자가 구토할 경우 환자 스스로 구토물을 입 밖으로 배출하는데 어려움을 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쇼크 자세는 실제로 혈압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미미하다.
  3. 짧은 거리이고 들것이 없을 경우에는 의자에 앉혀서 옮기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러나 먼 거리는 안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팔다리 손상 환자를 옮기는 법
  1. 응급구출이 필요한 상황이거나 쇼크가 우려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팔다리 손상 부위에 대한 부목 고정을 먼저 시 행하고 옮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부목 고정한 팔다리라도 체중을 지지하는데 사용되거나 움직여지지 않으면서 옮겨져야 한다.
  3. 쇼크가 우려되어 급히 옮겨야 하는 경우에는, 손상된 팔다리를 개별적으로 부목고정하지 않고 몸통 옆에 붙여 같이 고정한 다음 신속히 옮겨야 한다.
이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페이지 만족도 조사
관리부서
기획예산실
최종수정일
2017-09-20 15:28
오류신고